본문 바로가기

시사18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두번째 이야기 오늘은 지난번 식량안보 위기에 이어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시작해 봅니다.많은 분들이 우리는 쌀이 많으니까 괜찮지 않나?'라고 생각하지만, 진짜 문제는 쌀 말고 나머지 대부분의 식량에 있습니다.오늘은 쌀을 제외한 한국 식량의 현황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1. 밀 (Wheat) – 빵, 라면, 국수의 주인공이지만 99% 수입한국의 **밀 자급률은 0.8%**에 불과합니다. 우리가 먹는 빵, 라면, 우동, 짜장면, 케이크, 튀김옷 거의 전부 수입 밀로 만들어집니다. 주 수입국: 미국, 호주, 캐나다 문제: 수입선이 제한적이며, 수출 제한 시 즉시 타격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가격 50% 급등 경험2. 콩 (Soybean) – 두부, 간장, 된장, 식용유의 핵심콩 자급률은 .. 2025. 5. 23.
인공지능과 인간의 뇌 연결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이 연결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상상해 보면,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하거나,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고, 또 뭐가 있을까요?최근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을 연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특히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Neuralink)는 이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1. 뉴럴링크의 연구 현황Neuralink는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삽입하여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주로 의학적 목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마비 환자들이 컴퓨터를 사용해 의사소통을 하거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2024년 1월, 뉴럴링크는 첫 번째 인간 대상 임플란트 실험을 성공적.. 2025. 4. 5.
대한민국, 초고령사회로의 빠른 진입 지난해 12월,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문제는 하루이틀일이 아니지만, 정부 예상보다 1년 앞당겨진 2024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초고령사회는  단순히 "나이 든 사람이 많아지는 것"을 넘어, 사회 전체의 구조를 바꾸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초고령사회란 무엇이고, 우리가 직면할 문제와 해결책은 무엇일까요?1. 초고령사회란 무엇인가요?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사회를 뜻합니다. 대한민국은 2017년에 고령사회(14% 이상)에 진입했고, 정부는 2025년을 초고령사회 진입 시점으로 예상했지만, 현실은 더 빨랐습니다. 단 7~8년 만에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2025. 2. 12.
키오스크 표준안, 모두의 편리를 위하여 요즘 관공서나 카페 또는 식당에서 주문할 때, 키오스크 앞에 서는 일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하지만 이 디지털 기기가 모든 사람에게 편리한 건 아닙니다. 특히 고령층, 장애인, 그리고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장벽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키오스크 표준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 표준안은 키오스크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을 받고 진행 중입니다.왜 키오스크 표준안이 필요할까?키오스크 표준안이 필요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디지털 소외 계층의 어려움: 고령층이나 장애인은 키오스크 화면 글씨가 작거나 조작 방식..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