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량안보2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두번째 이야기 오늘은 지난번 식량안보 위기에 이어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시작해 봅니다.많은 분들이 우리는 쌀이 많으니까 괜찮지 않나?'라고 생각하지만, 진짜 문제는 쌀 말고 나머지 대부분의 식량에 있습니다.오늘은 쌀을 제외한 한국 식량의 현황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1. 밀 (Wheat) – 빵, 라면, 국수의 주인공이지만 99% 수입한국의 **밀 자급률은 0.8%**에 불과합니다. 우리가 먹는 빵, 라면, 우동, 짜장면, 케이크, 튀김옷 거의 전부 수입 밀로 만들어집니다. 주 수입국: 미국, 호주, 캐나다 문제: 수입선이 제한적이며, 수출 제한 시 즉시 타격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가격 50% 급등 경험2. 콩 (Soybean) – 두부, 간장, 된장, 식용유의 핵심콩 자급률은 .. 2025. 5. 23.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생각보다 위험한 현실 1. 식량안보란 무엇일까요?"먹을 것이 늘 넘쳐나는 세상에 식량안보라니?" 겉보기엔 잘 와닿지 않는 개념일 수 있습니다.식량안보(Food Security)란, “모든 사람이 언제나 충분한 식량을 물리적·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즉, 누구나, 언제나, 안심하고 밥을 먹을 수 있는 사회가 식량안보가 튼튼한 사회입니다.2. 대한민국은 식량안보가 취약한 나라입니다놀라실 수도 있지만,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식량안보 지수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국내 곡물 자급률은 20% 미만 우리가 먹는 밀, 옥수수, 콩 대부분 수입 심지어 식량 비축량도 1~2개월 수준에 불과 쌀만 100% 가까운 자급률을 유지하지만, 전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어 위기 대응력이 약합니다.3. 돈 있으면 ..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