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위험하다.

by dan-24 2025. 3. 26.
반응형

전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100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고작 벌 몇 마리 줄어든다고 뭐가 달라질까?"

싶겠지만

과학자들은 경고합니다.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도 위태롭다고"

1.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

이상고온현상

11월이 되면 꿀벌이 벌통 밖으로

나오지 않고 월동준비를 하는데,

날씨가 따뜻하니까

봄이 온 줄 알고 밖으로 나왔다가

추워지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됩니다.

질병과 해충

꿀벌에 치명적인 '응애'와 같은 해충,

곰팡이성 질병이 늘어난 이유도 있습니다. 

농약과 살충제 사용

꿀벌들은 꽃에서 꿀을 모으는 과정에서

살충제에 노출되는데,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농약은

꿀벌의 신경계를 교란해 방향 감각을 잃게 하거나,

벌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만듭니다.

서식지 감소

도시화와 대규모 농업이 확대되면서,

꿀벌들이 살고 먹이를 구할 수 있는

자연환경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꽃이 없는 단일 작물 농장이 늘어나면서

꿀벌들은 영양 부족에 시달리게 됩니다.

 

2. 꿀벌이 사라지면 생태계도 위험해집니다.

여러 식물들이 꿀벌에 의해

꽃가루를 옮김니다.

꿀벌이 수술의 꽃가루를

암술에 옮겨 주어야 열매가 맺습니다.

그래서 꿀벌이 없어지면

인간에게 필요한 채소, 곡식, 열마 등을

수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과학자들은 꿀벌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면,

인류를 포함해 많은 동식물이

멸종에 이르게 될 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꿀벌을 살리기 위해서는

일반 농가에서 농약 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꿀벌의 먹이가 풍부한 다양한 나무들을 심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백합나무, 피나무, 밤나무 등을

숲으로 구상하는 것도 도움이 되며,

도시나 정원에 라벤더, 해바라기, 민들레 등

꿀벌이 좋아하는 꽃을 심으면,

꿀벌이 먹이를 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꿀벌이 사라지면 단순히 꿀이 없어지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먹는 식량과 자연 생태계 전체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우리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농약사용을 줄이며,

꿀벌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지켜야 합니다. 

꿀벌을 구하는 일은 곧 우리의 미래를 구하는 일과도 연결돼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