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니체가 말하는 진짜 '자유인'의 삶

by dan-24 2025. 11. 1.
반응형

요즘은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합니다.

짧은 영상, 댓글, 게임, 쇼핑까지 - 잠깐의 현실도피가 일상이 되었습니다.

현실이 힘들수록 우리는 달콤한 세계에 끌립니다.

현실의 일들은 하기 싫고 피곤한데 게임 속에서는 하루 종일 달릴 힘이 생깁니다.

'게임의 세계'가 주는 달콤한 유혹

게임은 재미있습니다.

현실보다 빠르게 성취를 느끼게 해 주지요.

몇 번의 클릭만으로 레벨이 오르고, 멋진 무기나 아이템도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현실에선 오랜 시간 노력해야 겨우 얻을 수 있는 보상을 게임 속에서는 순식간에 손에 넣을 수 있습니다.

그건 단순한 재미가 아니라, 현실에서 채워지지 않는 성취감과 자유의 감각이기 때문입니다.

니체가 말하는 강한 사람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삶이 고통스럽다고 느끼더라도 달콤한 환상 속에 위안을 찾지 않는 사람, 그가 진정 자유로운 사람이다."

니체는 현실의 고통을 회피하는 대신, 그 안을 정면으로 살아내는 용기를 강조했습니다.

삶의 고통이 우리를 괴롭히더라도, 그것이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재료'임을 잊지 말라고 했습니다.

가상의 세계가 주는 위안

게임 속에서 우리는 전능해집니다.

누구도 나를 방해하지 않고, 노력의 결과가 즉각적으로 보상됩니다.

현실의 인간관계보다 단순하고, 실패해도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단순함'에 길들여질 때입니다.

현실의 복잡함과 불확실함을 견디는 힘이 점점 약해지고,

결국 현실을 피하는 습관이 몸에 배어버립니다.

가상의 세계는 달콤하지만,

그 달콤함 속에서 현실의 쓴맛을 마주할 용기를 잃게 되는 것입니다.

스크린 속 세계에 머무는 어른들

이제는 아이들뿐만이 아니라 많은 어른들도 잠시의 휴식을 위해 스마트폰 속으로 숨습니다.

짧은 영상, 댓글, '좋아요' 숫자에 기분이 좌우되고,

현실의 대화 보다 디지털 반응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현실은 불완전하고, 가상은 완벽한 듯 하지만, 완벽해 보이는 가상 속에서는 내가 성장하지 않습니다.

오늘 하루, 짧은 시간이라도 화면에서 벗어나 

현실의 나를 마주해야 합니다.

 

니체는 인간이 가진 것 중 가장 귀한 것이 '시간'이라고 말했습니다.

하루 24시간이라는 세계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그것이 곧 나라는 존재의 형태를 만듭니다.

가상의 세계에서 잠시 쉬어가는 건 괜찮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나의 현실을 대신하게 두어서는 안 됩니다. 

현실을 향해 한 걸음 나아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삶의 레벨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