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생태계와 인류 건강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리스크'

by dan-24 2025. 6. 27.
반응형

대부분의 환경 문제는 시각적 충격을 동반합니다.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황량한 벌목지, 스모그 낀 도심가 그 예입니다.

그러나 보이지 않기에 간과되기 쉬운 환경 위협 중 하나가 바로 지하 환경오염(Underground Environmental Pollution)입니다. 지하 환경오염은 지하수, 토양, 암반층 등 지표면 아래 공간에 유해물질이 축적되어 환경적·인체적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탐지와 복원이 매우 어려운 고위험군 오염 유형입니다.

지하 환경오염의 정의 및 주요 원인

지하 환경오염이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유해물질이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 심토, 암반층의 환경질을 악화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주요 오염대상은 대수층(지하수 저장층)과 지하 생태계입니다. 

                                                                                 주요 오염원

분류 오염행위 예시
산업활동 유류, 용재 유출, 화학공정 오폐수 정유소, 제조업체 주변
농업 비료, 농약의 잔류 및 침투  집약농지 지역
폐기물 처리 매립장 침출수, 불법 투기 도시 외곽 비관리 폐기물장
도시 인프라 노후화된 하수관, 지하저장시설 대도시 중심가 주유소,상업시설

사례 기반으로 본 위험성

1. 프랑스 Stocamine 사례 개요: 알자스 지역 폐광에 유독성 산업 폐기물을 매립한 후, 인근 상부 라인 대수층으로 유해물질이 확산될 위험이 논의됨. 핵심 문제: 해당 대수층은 유럽 8개국 500만 명 이상의 식수원이며, 벤젠, 수은, 시안화물 등의 유출 가능성이 제기됨. 참고 자료: The Guardian, 2025년 6월 23일 자 보도.

2. 미국 브루클린 Greenpoint 사건 내용: 과거 정유시설로 인해 300만 리터 이상의 석유 혼합물이 지하에 누출되었고, 그 영향으로 인근 주거지의 지하공간을 통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유입이 발생. 영향: 주민들의 호흡기 증상 증가, 실내공기질 저하, 일부 이주 요구 발생.

보건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 인체 건강 영향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벤젠,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등은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며, 지하공간을 통해 실내 공기로 이동하는 ‘기화 침투(Vapor Intrusion)’ 경로를 통해 호흡기계로 흡입될 수 있습니다. 중금속·질산염: 지하수 오염을 통해 음용수로 직접 노출되어, 신경계 장애나 영유아 메트헤모글로빈혈증(Blue Baby Syndrome)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생태계 영향

지하수는 강, 습지, 지하 생물다양성과 연결된 순환 자원입니다. 오염된 지하수는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악화, 생물 군집 교란, 식수 불능화 등 연쇄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기술적·정책적 대응 현황

1. 미국 (EPA)

Vapor Intrusion 평가 가이드라인 제정 (최초 2002 → 최신 개정 2022) Superfund Program 하에 오염 토지 정화 시, 지하 공기 샘플링 및 모델링 의무화

2. 유럽연합(EU)

토양 및 지하수 통합 관리 프레임워크 제시 일부 회원국(독일, 네덜란드)은 오염 우심지역 정밀조사 및 리스크 매트릭스 평가체계 운영

3. 한국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오염 우려 시설(주유소, 공장 등) 지하수·토양 정기 조사 의무화 국토지리정보원 중심의 ‘지하수 오염도 지질 DB 구축’ 시범사업 진행 중

지하 환경오염이 주는 정책적 시사점

1.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이 경제적이다

복원 비용은 사전 관리의 10배 이상. 오염 지점당 수십억 원 이상 소요.

2. 장기 모니터링 체계의 중요성

일회성 조사가 아닌 다층&다시점&다자료 통합형 DB 시스템 필요.

3. 환경영향평가 시 지하 환경 포함 확대

기존에는 표토 중심 조사에 한정되어, 대규모 개발 시 지하 대수층 위험성 누락되는 사례 다수.

결론

지하 환경은 지표의 거울이자, 인류 생존의 숨은 기반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보지 못한다고 해서 그 영향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 속에서 조용히 진행되는 오염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 깊게, 더 넓게 퍼져나갑니다. 따라서 환경 정책과 사회적 인식 모두, 이제는 “지하 환경도 하나의 생태계로 보고 보호해야 한다”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U.S. EPA, "Technical Guide for Assessing and Mitigating the Vapor Intrusion Pathway, " 2022 The Guardian, “A Timebomb: Stocamine Waste Site May Threaten Europe’s Water,” 2025.6.23 국립환경과학원, 「지하수 및 토양환경 평가기술 매뉴얼」, 2023 유럽환경청(EEA), “Soil and Subsurface Environmental Risks Report,”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