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전쟁 속 무기로 변한 '물'... 카호프카 댐 붕괴가 불러온 환경재앙

by dan-24 2025. 8. 6.
반응형

어릴 적 “물은 생명입니다”라는 슬로건을 보며 당연하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어떤 곳에서는 그 물이 생명을 살리는 게 아니라 생명을 앗아가는 무기가 되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남부의 카호프카 댐이 전쟁 중 파괴되었습니다. 댐이 무너지고 쏟아진 건 그냥 물만이 아니었습니다. 그 속에는 독성 중금속, 침전물, 수많은 생명, 그리고 삶의 터전이 함께 흘러내렸습니다.

무너진 건 댐 하나가 아니었다

카호프카 댐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었습니다. 드니프로 강의 주요 저수지 중 하나로, 18㎦에 가까운 어마어마한 물을 담고 있던 거대한 저장소였습니다. 그 댐이 파괴되면서, 약 16.4㎦의 물이 순식간에 흘러나왔습니다. 올림픽 정규 규격 수영장 360만 개 분량이라니, 상상이 되시나요?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이재민이 약 11만 명, 피해건물 6만 채, 사망자 84명, 전체 생물량의 80%가 소실되고 양서류, 조류, 포유류 등의 서식지도 파괴되었습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피해였습니다. 

중금속 8만 톤, 수면 위로 떠오르다

댐이 무너지면서 드러난 저수지 바닥에는 놀랍게도 납, 카드뮴, 니켈 등 독성 중금속이 약 8만 3천 톤이나 매몰되어 있었습니다. 이 물질들은 평소엔 물속 깊은 곳에 잠자고 있었지만, 댐이 사라진 순간 갑자기 노출되어 천천히 강으로, 그리고 바다로 흘러가기 시작했습니다. 문제는 이 오염이 단번에 끝나는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지금도 계절마다 반복되는 홍수와 비가 이 독성 물질을 계속 끌고 내려보내고 있습니다. 2024년 봄에는 약 888㎢가 다시 침수되면서 오염 농도가 더욱 높아졌다는 조사도 있습니다.

바다 생태계를 위협하다.

이 영향은 흑해까지 미쳤습니다. 강에서 바다로 흘러든 담수가 염도를 급격히 낮추고, 질소와 인 농도는 평소보다 5~10배 증가했다고 합니다. 특히 오데사 해역에서는 홍합 개체 수가 절반 가까이 감소한 곳도 있다고 합니다. 수질이 변하면 단순히 바다 생물이 죽는 것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그건 곧 우리 식탁 위 해산물의 질과 안전으로 이어지고, 결국 우리 건강과도 연결됩니다.

잃어버린 생명들, 돌아올 수 있을까

홍수가 발생한 시기는 물고기의 산란 직후였습니다. 부화한 새끼 물고기들이 빠져나갈 시간도 없이 휩쓸려 갔습니다. 식물성 플랑크톤, 저서 무척추동물, 범람원 초지에 살던 조류와 포유류들까지… 모든 생태계가 그 물에 쓸려나갔습니다. 놀라운 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은 조금씩 스스로를 회복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사고 후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일부 지역에선 초기 수변 식물이 다시 자라기 시작했고, 2024년 봄에는 포유류의 이동도 관찰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약 5년 안에 식생이 회복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댐을 다시 지어야 할까?

댐을 복구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모두가 예전으로 돌아가길 바라지만, 전문가들은 차라리 일부 구역을 습지대로 남기고, 임시 장벽으로 오염 확산을 막자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 어떤 계획도 전쟁이 멈춰야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닙니다. 전쟁이 인공적으로 만든 환경재앙입니다.

우리는 왜 이 이야기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요

‘우크라이나 이야기잖아’ 하고 지나칠 수 있지만, 사실 이건 지금 전 세계 모든 나라가 안고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전 세계에는  5만 개가 넘는 대형 저수지 시설이 존재하고 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수천 개의 노후 댐들이 세계 곳곳에  있으며, 기후변화, 홍수, 정치적 갈등이 겹친다면 비슷한 재앙은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위험한 건, 이 모든 일이 벌어지는 동안 우리가 너무도 쉽게 ‘무관심해지는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물'은 생명을 지키기도 하지만, 잘못 사용되면 세대를 위협하는 재앙이 될 수 있습니다.

카호프카 댐 붕괴는 지금 이 순간에도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으며, 이런 사태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전쟁 없는 세계, 지속 가능한 물 관리가 필수입니다. 

 

참고자료

Science Journal,"Environmental effscts of the Kakhovka Dam destruction by warfare in Ukraine",2024

미국 개척국(U.S Bureau of Reclamation) 홍수 피해 분석 모델

위키피디아, 카호프카 댐

환경 뉴스 종합 보도(편집 및 재구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