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5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생각보다 위험한 현실 1. 식량안보란 무엇일까요?"먹을 것이 늘 넘쳐나는 세상에 식량안보라니?" 겉보기엔 잘 와닿지 않는 개념일 수 있습니다.식량안보(Food Security)란, “모든 사람이 언제나 충분한 식량을 물리적·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즉, 누구나, 언제나, 안심하고 밥을 먹을 수 있는 사회가 식량안보가 튼튼한 사회입니다.2. 대한민국은 식량안보가 취약한 나라입니다놀라실 수도 있지만,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식량안보 지수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국내 곡물 자급률은 20% 미만 우리가 먹는 밀, 옥수수, 콩 대부분 수입 심지어 식량 비축량도 1~2개월 수준에 불과 쌀만 100% 가까운 자급률을 유지하지만, 전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어 위기 대응력이 약합니다.3. 돈 있으면 .. 2025. 5. 21.
장과 뇌의 놀라운 연결 이야기 아침에 눈을 떴을 때 기분이 꿀꿀하고,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나며, 하루 종일 멍한 상태로 보낸 적이 있으신가요?혹시 그날, 아침 식사는 제대로 하셨는지..우리가 무심코 넘기는 '장(腸)'이 사실은 기분, 감정, 심지어 성격까지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습니까?오늘은 ‘장과 뇌가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흥미로운 사실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장-뇌 축(Gut-Brain Axis): 단순한 비유가 아닙니다‘장은 제2의 뇌’라는 말은 이제 더 이상 수사적 표현이 아닙니다. 최근의 신경과학, 정신의학, 면역학 연구에 따르면, 장과 뇌는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연결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주신경(Vagus Nerve)은 장과 뇌를 직접 연결하는 신경 통로입니다. 행복 .. 2025. 5. 13.
기업은 왜, 그리고 어떻게 환경문제에 책임져야 하는가 기후 위기는 이제 더 이상 환경 단체나 시민만의 과제가 아닙니다. 탄소 배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구조 속에서, 기업은 단순한 "원인 제공자"를 넘어 '해결의 열쇠'를 쥔 중요한 존재로 떠올랐습니다. 기후 변화, 생태계 파괴, 자원 고갈의 문제는 이제 기업의 생존 전략과 직결되는 요소가 되었고, 실제로 기업이 환경에 기여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도태되는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기업의 활동은 단순히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에너지 소비, 자원 사용, 폐기물 배출, 공급망 관리까지 전 과정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제 중요한 질문은 이것입니다. "환경을 위해 기업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1️⃣ 환경 문제 해결의 핵심 축으로 떠오른 기업기후 위기 시대에 기업의 역할은 크게 세.. 2025. 5. 8.
도시가 살아남는 법, 탄소중립 선도도시 한때 '미래'라 불리던 2050년이 어느새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미래는 더 이상 SF 영화 속 반짝이는 도시가 아닙니다. 기후위기로 인한 폭염과 폭우, 식량 위기, 에너지 불안정이 ‘일상’이 되어가는 시대. 과연 우리가 사는 도시는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그 해답을 찾기 위한 실험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름하여 ‘탄소중립 선도도시’. 서울도, 제주도도, 산업도시 당진도 이 거대한 전환에 뛰어들었습니다. 각 도시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탄소를 줄이고, 에너지를 바꾸고, 삶의 방식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 도시들이 보여주는 변화는 단순한 도시계획이 아닌,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방식에 대한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입니다.탄소중립 선도도시란?탄소중립 선도도시는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지침이 아니라,.. 2025. 5. 4.